파묘 - 오컬트 장르가 ‘항일 정서’와 만났을 때
파묘 - 오컬트 장르가 ‘항일 정서’와 만났을 때
  • 신대욱
  • 승인 2024.03.27 12:4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컬트 장르가 ‘항일 정서’와 만났을 때

* 이 글은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파묘>는 한국의 무속에 민족 정서를 더한 오컬트 영화다. ‘오컬트 장인’으로 불리는 장재현 감독의 신작 <파묘>는 이전의 오컬트 마니아 취향에서 보다 넓은 대중을 향하고 있다.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친숙한 굿과 남녀노소 누구나 공감할만한 항일 정서를 담은 데다, 시종일관 긴장감을 놓치지 않는 장르적 접근이 돋보인다는 점에서다.
오컬트 영화는 인간의 이성과 과학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불가해한 영역을 다룬다. <파묘>는 전통적인 오컬트 장르를 비틀어 ‘한국형 오컬트’라는 독자적인 영역으로 나아갔다는 점에서 신선하다는 평을 얻고 있다. 풍수지리와 무속신앙을 적극적으로 차용한데다 아직 잔존하고 있는 친일의 흔적을 파헤치고 있다는 점에서다.

풍수, 무속에 역사적 인식 더한 ‘한국형 오컬트’

무당 이화림(김고은)과 법사 윤봉길(이도현)이 미국 LA 초호화 저택에 사는 부잣집 장손 박지용(김재철)의 의뢰를 받으면서 영화는 시작한다. 박지용은 알 수 없는 신경쇠약에 시달리고 있다. 아이마저 이유를 알 수 없는 증상으로 병원에서 치료중이다. 그의 아버지도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다. 이렇듯 삼대에 걸친 집안사람들이 의문의 병을 앓고 있지만 현대 의학으로는 치료할 방법이 없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의 유명 무당인 화림을 불러들인 것이다. 화림은 집안 조상의 묫자리가 원인이라고 판단하고 박지용에게 이장을 권한다. 이후 화림은 한국에 돌아와 풍수사 김상덕(최민식), 장의사 고영근(유해진)과 함께 팀을 꾸려 강원도 산골에 묻힌 의뢰인 조상의 묘를 옮길 계획에 들어간다. 상덕은 묫자리를 본 이후 이곳은 절대 사람이 묻힐 수 없는 악지 중에 악지라며 파묘를 거절한다. 화림은 파묘와 동시에 험한 일을 막아줄 대살굿을 진행하자고 제안하며 설득에 나서고, 파묘에 들어간다.
<파묘>는 뭔가 파내면 파낼수록 새로운 이야기가 더해지는 구조를 지녔다. 무엇보다 땅 속에서 하나씩 파헤쳐지는 실체가 공포심을 불러일으키고, 이는 관객들의 궁금증과 긴장감을 높이는 요소기도 하다.
<파묘>는 무덤에 얽힌 미스터리로 출발한다. 태어날 때부터 ‘그냥 부자’였다는 의뢰인 집안의 기이한 병력과 조상 무덤의 불길한 기운은 관이 끌어올려지고 안에서 ‘험한 것’이 나올 때까지 압도적인 긴장감으로 이어진다. 파묘를 진행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을 비추는 카메라는 원거리에서 찍혔다. 이 장면은 전체적으로 불길한 기운에 짓눌린 것처럼 묘사됐다. 영화를 이끄는 네 명의 주인공은 전사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고, 각자의 영역에서 최고의 명성을 얻고 있는 인물들이라는 점만 설명된다. 
그렇게 영화 중반부까지는 대한민국 최고의 풍수사와 무당, 법사, 장의사가 한데 모여 무덤에 얽힌 비밀을 파헤치는 미스터리물의 구조를 따른다. 무엇보다 파묘를 의뢰한 박지용이 조상(조부)에 대한 얘기 없이 관을 열지 말고 그대로 화장해달라고 요구하면서 불길함은 더해진다. 때마침 내리는 비로 화장은 연기되고, 그 사이 관은 안치소 직원의 욕심으로 인해 열리게 된다. 그렇게 등장한 첫 번째 ‘험한 것’으로 인해 박지용 집안의 이면이 드러난다. 그 혼령(악귀)은 박지용의 조부로 일제 강점기, 중추원 부의장까지 지낸 박근현이다. 친일파의 핵심 인물이어서 의뢰인 가족이 이를 감춘 것이다. 

‘험한 것’이 나왔을 때 드러난 진실

관이 열리면서 나온 악귀는 자신을 악지에 던져놓고 돌보지 않은 후손들을 차례로 찾아가 목숨을 빼앗는다. 무엇보다 악귀가 손자인 박지용의 목숨을 앗아가는 시퀀스(특히 풍수사인 김상덕의 목소리로 빙의한 악귀가 찾아가는 장면)는 압권이다. 오컬트 장르의 규칙을 따르고 있는 이 시퀀스에서 공포심은 극에 달한다. 또 박지용의 몸에 들어간 악귀는 당시 일제가 내세웠던 대동아공영권 등을 토해낸다. 이로써 무덤에 얽힌 의문이 풀린다. 이들이 ‘그냥 부자’가 아니었다는 진실을 목도하는 순간이다. 여기에서 <파묘>가 역사를 바라보는 태도도 명확하게 드러난다. 친일 잔재를 제대로 청산하지 못한 채 묻혀 있는 우리 역사를 제대로 보라는 태도다. 파묘를 주도하는 이화림과 김상덕, 윤봉길, 고영근은 독립운동가의 이름에서 가져왔고, 이들이 타고 있는 차량 번호도 0301, 0815, 1945로 상징적이다.
모든 비밀이 밝혀지고 무덤을 둘러싼 문제의 원인이 해소되는 것처럼 보였던 영화는 불현듯 다른 이야기를 시작한다. 어쩌면 영화 <파묘>가 하고자 한 진짜 이야기의 시작인지도 모른다. 박지용이 죽어가면서 던진 말로부터 새로운 이야기가 시작된다. “여우가 범의 허리를 끊었다.”
첩장과 일본 요괴인 오니의 등장이다. 김상덕은 파묘 작업에 참여한 한 인부가 땅 속에서 나온 뱀(일본 요괴의 하나인 누레온나)을 죽인 이후 알 수 없는 병에 걸린 얘기를 듣고 다시 무덤을 찾는다. 거기서 관 아래 숨겨진 또 다른 관인 첩장을 발견한다. 여기에서 ‘더 험한 것’인 오니가 빠져나오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는다. 상덕과 화림, 봉길, 영근은 다시 힘을 합쳐 구척장신 오니에 맞선다.

두 번째 이야기의 핵심은 첩장이다. 첫 번째 관이 진짜 관을 숨겨놓기 위한 장식에 불과했다는 점에서다. 친일파 속에 숨겨진 일본 제국주의의 망령이다. 두 번째 관에서 나온 오니는 임진왜란 이후 벌어진 일본 내전인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죽은 다이묘다. 1만명 이상을 죽인 무적의 장수로 일본에서는 신으로 추앙받으면서 정령이 됐다. 오니는 일제 강점기, 당대 유명한 일본 무당인 음양사에 의해 몰래 이 땅에 묻혔다. 음양사는 여우로도 표현되는데, 여우가 범의 허리를 끊은 셈이다. 민족정기를 끊는 쇠말뚝 역할이다. 
세키가하라 전투에 참여한 다이묘의 상당수는 임진왜란에 참전한 이들이다. 그만큼 <파묘>에 등장한 오니는 임진왜란 당시 우리 국토를 유린하고 수많은 백성을 학살한 악귀를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김상덕이 이 무덤을 파묘할 때 산신에게 자릿세의 의미로 100원짜리 동전을 던지는데(100원짜리 동전에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얼굴이 새겨져 있다), 이 장면은 영화 전체 흐름을 앞서 암시하고 있다.
오니는 한국의 귀신과 달리 다가오는 모든 것을 살해하는 악귀로 워낙 강력해 이길 수 없는 존재다. 이에 맞서는 네 명의 인물은 일제 강점기 이길 수 없는 일본 제국주의에 맞선 독립운동가들을 상징한다. 새로운 방식의 역사 영화로 평가받는 이유다.
그런 점에서 <파묘>는 의미 있게 다가온다. 여전히 우리 국토를 유린하는데 앞장 선 이토 히로부미를 예찬하는 유력 정치인이 있을 정도로 청산하지 못한 친일 잔재가 땅 밑에 숨겨져 있기 때문이다. 아직 우리에겐 파묘해야 할 것들이 남아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 123 미용회관 5층
  • 대표전화 : 02-585-3351~3
  • 팩스 : 02-588-5012, 525-1637
  • 명칭 : 대한미용사회중앙회
  • 제호 : BeautyM (미용회보)
  • 대한미용사회중앙회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대한미용사회중앙회.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